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중학교 (1)
    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1. 12. 10:00

    오늘은 공통 중심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앞에서 포스팅했듯이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공통교육과정을 배우기 어려운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교육과정을 의미한다. 오늘은 이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을 중학교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는 교육부 고시 제 2015-81호임을 명시한다.


    중학교

    가. 편제와 시간배당 기준

    1) 편제

    가) 중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 중학교 교육과정은 단순히 교과 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도 포함된다. (라) 참고

    나) 교과(군)는 국어, 사회(역사 포함)/도덕, 수학, 과학/기술가정/정보,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선택으로 한다.

    다) 선택 교과는 한문, 환경, 생활 외국어(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보건, 진로와 직업 등의 과목으로 한다.

    -> 선택 교과는 필수적으로 170시수가 편성이된다.

    라)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으로 한다.



    2) 시간배당 기준 

    구분

    1~3학년 

     교과(군)

    국어 

    442

    사회(역사 포함)/ 도덕 

    510

    수학 

    374 

    과학/기술 가정/ 정보 

    680 

    체육 

    272 

    예술(음악/미술) 

    272 

    영어 

    340 

    선택 

    170 

     소계

    3060 

    창의적 체험활동 

    306 

    총 수업시간 수 

    3366 


    * 체육과 예술이 상대적으로 적어 보이지만 추후에 보면 알듯이 이 두 가지는 못 줄이게 되어있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은 총 수업시수의 10%이며 창의적 체험활동은 앞에서 말했듯이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총 수업시간 수는 3060으로 책정된다.


    1. 이 표에서 1시간 수업은 45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와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용의 성격, 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 운영 할 수 있다.

    2. 학년군 및 교과(군)별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한 3년 간의 기존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3. 총 수업 시간은 수는 3년간 최소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4. 정보 과목은 34시간을 기준으로 편성 운영한다.


    오늘은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1 이라는 제목으로 구성요소와 시간배당 기준을 알아보았다. 내일은 조금 길지만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특수교사의 특별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