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대한민국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핵심역량
    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7. 10:00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핵심역량
    - 우리나라 교육을 배경으로 -

    오늘의 포스팅은 정확하게 특수교육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다. 오늘은 대한민국의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핵심 역량에 대해 이야기 해 보려고 한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각 나라는 나라에서 추구하는인재가 있는데 이를 추구하는 인간상 이라고 정의한다. 때문에 추구하는 인간상을 안다는 것은 교육자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추구하는 인간상 [출처 : 교육부]
    우리나라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천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과 교육 목적을 바탕으로, 이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다음과 같다.

    가. 전인적 성장을 바탕으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 자주적인 사람

    나.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

    다.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교양있는 사람

    라.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여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

    즉 대한민국에서 추구하는 인재상은 지혜와 열정을 가지고 창의적인 탐구를 하며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마음이 따뜻한 사람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교육부에서 매년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100명의 인재, 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여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교육과정에서 실현해야 하는 핵심역량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각각의 핵심역량들은 교육과정 속에 녹아져서 대한민국에서 공부를 하는 학생들이라면 누구나 배우게 된다.

    핵심역량 [출처 : 교육부]
    이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화기 위해 교과 교육을 포함한 학교 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심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핵심역량은 다음과 같다.

    가.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자질을 갖추어 자기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자기관리 역량

    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식정보처리역량

    다.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 사고 역량

    라.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향유하는 심미적 감성 역량

    마.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여 존중하는 의사소통 역량

    바. 지역 국가 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공동체 역량

    오늘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대한민국의 교육과정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에 위와 같이 각각의 역량을 학생에게 중심으로 가르친다. 이것이 공교육과 사교육의 차이점이다.

    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칠 때 어떤 이념 아래에서 어떻게 학생을 가르쳐야 하는지 명심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다. 그래서 교육과정이라는 요목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 포스팅에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특수교사의 특별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