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
-
소리의 단위에 대해 알아보자청각장애 2019. 11. 6. 10:00
저번 포스팅까지는 청각의 생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전음성과 감음성 청각장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소리의 단위는 무엇인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자. 소리는 dB(데시벨)로 나타낸다. 이는 소리의 물리적인 크기를 의미하며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압의 범위는 0~140dB이다. * 0dB은 정상인의 평균최소가청역치를 의미하며 이는 소리가 없다는 것이 아니다. **최소 가청역치란 청력이 정상인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를 의미한다. 한마디로 dB은 음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dB은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뉘어진다.dB IL (INTENSITY LEVEL) 은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를 의미한다. 강도란 소리가 전달하는 힘이 어느정도인지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dB SPL(Sound..
-
인공와우에 대해 알아보자(cochlear implantation)청각장애 2019. 10. 27. 10:02
이전 포스팅에서는 보청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면 오늘은 인공와우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보청기와 인공와우는 둘다 청각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적용되는 기기이지만 쓰는 방법과 활용방법이 다르다.https://speciledu.tistory.com/25 보청기에 대한 포스팅 바로가기 보청기가 음의 증폭을 하기 위한 기기라고 한다면 인공와우는 소리를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전극이 직접 청신경을 자극해 소리를 듣게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다시말해 보청기는 전음을 담당한다면 인공와우는 감음을 담당하는 것이다.인공와우는 와우에 소리를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기를 삽입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인공와우를 사용하려면 청신경은 정상이지만 와우에 이상이 있는 아이를 대상으로 인공와우삽입술이 가능하다. (참고 청신경이 일부 남아있어도..
-
보청기에 대해 알아보자 (Hearing aid)청각장애 2019. 10. 18. 10:00
오늘은 보청기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한다. 보청기의 주된 역할은 음을 증폭시키는 역할이다. 이 점이 인공와우와 다른 점인데, 인공와우는 감음에 대한 기기이다. (추후 포스팅하겠다.) 그렇다면 보청기는 어떤 사람이 사용하는가? 주로 전음성 장애를 가진 아동이나 노인들이 많이 쓴다. 노인들이 보청기를 사용하는 것은 다들 기본적으로 알고있는 상식이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노인 이외에 전음성 아동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음성과 감음신경성의 차이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https://speciledu.tistory.com/15청극의 경로에 따른 청각장애 원인은 무엇일까?보청기의 구조는 먼저 소리가 들어가는 이어폰과 증폭하는 증폭기 그리고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말해 보청기를 통해..
-
청각의 경로에 따른 청각장애 원인은 무엇일까?청각장애 2019. 10. 8. 10:00
청각장애는 타 감각장애와는 달리 장애가 일어나는 특정 부위에 따라 장애를 분류하기도 한다. 물론 시기에 따라서나 청력손실의 정도에 따라서 제공되는 교육 및 관련서비스가 달라지기는 하지만 오늘은 경로에 따른 분류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렇다면 청각의 경로에 대해서 알아보자. 귀의 구조는 먼저 외이. 중이, 내이로 나뉘어진다. 외이는 이개와 외이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귀의 가장 바깥쪽부터 외이도 즉 고막으로 향하는 긴 관 까지를 외이라고 정의한다. 중이는 고막과 이소골, 유스타키오관을 의미한다. 고막은 외이와 중이를 구별하는 막이기다. 또한 소리가 이개와 외이도를 따라서 들어오면 가장 처음으로 치는 막이기도 하다. 이 때 고막에서 소리가 1차적으로 증폭되면 추골 미골 등골 3개의 뼈가 서로 비벼지면서 2차적으..
-
청각장애 (Hearing impairment)청각장애 2019. 9. 30. 10:00
오늘은 청각장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청각장애란 시각장애와 함께 감각장애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잠깐! 청각장애를 ‘감각장애’로 나누었는데, 이는 청각장애와 시각장애는 visually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로써 impairment라는 신경학적인 손상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장애의 분류에 대해서도 따로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청각장애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약칭: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 10조 별표에 보면 청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 대상자란 청력손실이 심하여 보청기를 착용해도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 또는 곤란한 상태이거나, 청력이 남아 있어도 보청기를 착용해야 청각을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청각에 의한 교육적 성취가 어려운 사람 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