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kor.specialedu@gmail.com 💐제보는 여기로💐

Today
Yesterday
Total
  • 개별화교육계획은 무엇인가?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
    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5. 10:00

    오늘은 특수교육에서 정말 중요한 개념인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매 학기마다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고 이 계획을 시작과 끝에 학부모에게 공개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개별화교육계획은 학기 중에 학부모가 원할 시 언제든지 열람 가능하도록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그렇다면 특수교육법 22조에서 말하는 개별화교육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자.

    22(개별화교육) 

    각급학교의 장은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호자, 특수교육교원, 일반교육교원, 진로 및 직업교육 담당 교원,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담당 인력 등으로 개별화교육지원팀을 구성한다.

    개별화교육지원팀은 매 학기 마다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

    특수교육대상자가 다른 학교로 전학할 경우 또는 상급학교로 진학할 경우에는 전출학교는 전입학교에 개별화교육계획을 14일 이내에 송부하여야 한다.

    특수교육교원은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각 업무를 지원하고 조정한다.

    1항에 따른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 2항에 따른 개별화교육계획의 수립ㆍ실시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교육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08. 2. 29., 2013. 3. 23.>

     

     

    먼저 개별화교육 팀에 대해서 알아보자. 개별화교육팀은 보호자, 특수교사, 일반교사, 진로직업 담당교사, 관련서비스 담당인력, 그리고 학생 등으로 개별화교육팀을 구성합니다. 라고 되어있다. 이 점을 통해서 개별화교육계획은 혼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팀협력으로 이루어져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별화교육이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개별화교육계획이란 한 학기 및 학년마다 학생이 배워야 될 사항을 교사와 팀이 함께 서술하게 된다. 개별화교육계획에는 기능적인 영역과 학업적인 영역을 모두 서술해야 한다.

     

    또한 개별화교육계획에는 학생에게 적용할 적절한 교육방식과 관련 서비스를 함께 제시해야 하며, 학생에게 맞추어진 목표, 방법, 내용, 평가방법 등을 서술하여야 한다. 이 계획은 다양한 진단 및 평가방법을 통해서 구체화 시켜서 다음 년도에서 학생이 더욱 성장 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된다.

     

    여기에서 오해할 수 있는 점은 개별화교육은 개별교육이 아니다. 개별화교육은 학생의 발달과 장애특성에 맞추어서 적합한 교육을 제시하기 위한 계획서이고 이 계획대로 학생을 교육시켜야 한다. 이 때 다양한 교수법이 들어오는데 팀티칭, 대안교수, 평행교수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여러 학생과 섞여 교육을 받게 된다.

    하지만 현재 특수교육 현장에서 개별화교육계획의 활용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 중 가장 큰 건은 다음 학년으로 개별화교육계획이 전달되고 교사는 이전을 참고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사실 많은 교사들이 개별화교육계획을 다음 학년으로 공개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다양한 이유가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학생의 개인정보보호이다. 이외에 부수적인 이유로는 교사들이 자신의 개별화를 공개하기 꺼려하는 이유도 있다.

     

    특수교육의 전반적인 베이스에는 개별화교육계획이 필수로 깔려있어야 한다. 때문에 개별화교육계획은 앞으로도 꾸준히 연구되어야 하며 교사와 학부모의 꾸준한 관심이 필요한 영역이다.

     


특수교사의 특별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