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
정서 및 행동장애의 기질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자정서 및 행동장애 2020. 3. 20. 12:00
정서 및 행동장애에서 신체생리학적 모델을 살펴보면 신체생리학적 요인에는 유전적 요인, 생화학적 요인, 기질적 요인으로 나뉘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신체생리학적 요인은 무엇인지 기질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신체생리학적 모델은 아동의 행동이 기질적인 요인으로 인해 변화되고 문제가 나타난다고 하는 모델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태어날 때 부터 갖고 태어나는 유전적 요인이나 신경학적인 요인을 원인으로 삼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기질은 무엇인지 알아보자.어떤 책에는 기질을 순한기질(easy child), 까다로운 기질 (difficult child), 느린기질 (slow to swarm up)으로 나눈다고 되어 있고, 어떤 책에는 순한기질, 더딘기질, 까다로운기질, 행동억제 기질이라..
-
정서 및 행동장애의 분류애 대해 알아보자정서 및 행동장애 2020. 3. 19. 12:40
오늘은 정서 및 행동장애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이전의 포스팅에서 정서 및 행동장애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관련링크 : https://speciledu.tistory.com/17?category=352613)그런데 정의는 정서 및 행동장애의 법적정의를 의미한 것이었기 때문에 오늘 포스팅에서는 전체적인 정의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정서 및 행동장애는 4가지의 범주로 나타낼 수 있다.1. 법적 정의의 정서 및 행동장애 학생2. 임상적 정의의 정서 및 행동장애 학생3. 교육적 정의의 정서 및 행동장애 학생4. 모든 학생 1. 법적 정의의 정서 및 행동장애 학생은 총 5가지의 범주로 나뉜다.시행령 제10조(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기준) 제 5항 정서 행동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는 다음과 같다.장기..
-
퀴블러로스의 이론에 대해 알아보자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1. 14. 10:00
오늘은 퀴블러로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심리변화를 알아보려고 한다. 퀴블러로스에 대해 설명하자면 임종에 대한 연구를 한 연구자인데 세계 최초로 호스피스운동을 실시한 사람이다. 오늘 퀴블러로스의 연구를 인용하는 이유는 이후에 설명할 부모에 대한 교육이나 가족지원에서 부모의 심리적 변화가 퀴블러로스의 연구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퀴블러로스의 말에 따르면 죽음을 앞둔 사람은 거부(denial), 분노(anger), 흥정(bargaining), 침울(depression), 수용(acceptance) 5단계로 설명한다. 먼저 거부(denial)는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의사가 진단을 내리는 경우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부정하는 양상을 보인댜. “우리 아이는 ..
-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중학교 (2)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1. 13. 10:00
계속해서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의 기준에 대해 알아보자.https://speciledu.tistory.com/47?category=352105 공통 교육괒어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중학교(1) 나.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기준1) 학교는 3년간 이수해야 할 교과목을 학년별, 학기별로 편성하여 학생과 학부모에게 안내한다.2) 교과(군)의 이수 시기와 그에 따른 수업 시수는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3) 학교는 학교의 특성, 학생 교사 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자율적으로 교과(군)별 2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하여 편성 운영할 수 있다. 단 체육, 예술(음악/미술)교과는 기준 시수를 감축하여 편성 운영할 수 없다.4) 학교는 필요한 경우 교과(군)별 시수를 활용하여 '시각장애인 자립생활'..
-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중학교 (1)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1. 12. 10:00
오늘은 공통 중심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앞에서 포스팅했듯이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공통교육과정을 배우기 어려운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교육과정을 의미한다. 오늘은 이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을 중학교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는 교육부 고시 제 2015-81호임을 명시한다. 중학교가. 편제와 시간배당 기준1) 편제가) 중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과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중학교 교육과정은 단순히 교과 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도 포함된다. (라) 참고나) 교과(군)는 국어, 사회(역사 포함)/도덕, 수학, 과학/기술가정/정보,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선택으로 한다.다) 선택 교과는 한문, 환경, 생활 외국어(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
-
시각의 활용기술 훈련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시각장애 2019. 11. 8. 10:00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시각의 활용기술을 교수하려면 시각의 활용기술 훈련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이 기술들은 크게 중심외보기 기술, 고시, 추시, 추적, 추사, 위치찾기가 있는데 순차적으로 익혀야되는 기술도 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중심 외 보기기술이다. 이 기술은 중심부에 암점이 있는 학생들에게(예 : 황반변성) 교수해야 되는 기술인데 중심에 암점이 있기 때문에 머리와 고개를 옆으로 돌리고 눈동자를 움직여서 대상을 보는 기술이다. 주변부를 통해서 글자와 숫자를 읽는 기술을 의미하는데 이 기술을 교수하려면 두 눈의 시력차이가 현저하게 나거나 한 쪽 눈으로만 보는 학생들이 해당된다. 두 번째는 고시기술이다. 이 기술은 한 가지 사물이나 글자에 응시하여서 보는 ..
-
소리의 단위에 대해 알아보자청각장애 2019. 11. 6. 10:00
저번 포스팅까지는 청각의 생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전음성과 감음성 청각장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소리의 단위는 무엇인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자. 소리는 dB(데시벨)로 나타낸다. 이는 소리의 물리적인 크기를 의미하며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음압의 범위는 0~140dB이다. * 0dB은 정상인의 평균최소가청역치를 의미하며 이는 소리가 없다는 것이 아니다. **최소 가청역치란 청력이 정상인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를 의미한다. 한마디로 dB은 음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dB은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뉘어진다.dB IL (INTENSITY LEVEL) 은 소리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를 의미한다. 강도란 소리가 전달하는 힘이 어느정도인지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dB SPL(Sound..
-
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는 무엇이 있는가특수교육법 2019. 11. 5. 10:00
오늘은 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무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특수교육 대상자에게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일정한 의무와 책임을 다하여야 하는데 오늘은 그 책임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약칭 : 특수교육법) 제 5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를 참고하고자 한다. 제5조(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1. 장애인에 대한 특수교육종합계획의 수립2. 특수교육대상자의 조기발견3. 특수교육 대상자의 취학지도4. 특수교육의 내용, 방법 및 지원체제연구 개선5. 특수교육교원의 양성 및 연수6. 특수교육기관 배치계획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