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은 무엇인가?특수교육의 이야기 2020. 3. 22. 13:00
오늘은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이 포스팅을 이해하기 전에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성격(교육의 이념)에 대해서 이해하고,
https://speciledu.tistory.com/11?category=352105
대한민국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핵심역량에 대해서 이해하여야 한다.
https://speciledu.tistory.com/14?category=352105
위 포스팅을 읽고 오지 않았다면 필히 다시 읽기를 바란다.
그렇다면 오늘은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2015 총론에 의거해 교육과정의 구성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추구해 온 교육 이념과 인간상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한 교육과정의 중점은 다음과 같다.
가. 인문, 사회, 과학기술 기초 소향을 균형 있게 함양하고,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따른 선택학습을 강화한다.
-> 추후에 살펴보겠지만 고등교과에는 보통교과와 선택교과로 나뉜다.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서 학생에게 맞는 선택학습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나. 교과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구조화하고 학습량을 적정화하여 학습의 질을 개선한다.
->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는 학생에게 배움이 의미있는 수업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학습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교과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다. 교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고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한다.
-> 학생이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참여형 수업을 의미하는데, 학생참여형은 토의 토론학습, 프로젝트학습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고 학생이 수업에 즐거움을 갖도록 한다.
라. 학습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를 강화하여 학생이 자신의 학습을 성찰하도록 하고, 평가를 활용하여 교수, 학습의 질을 개선한다.
-> 교육학에서도 나오듯이 '반성적 성찰'이 중요하다. 학생은 자신의 과거 미래, 현재를 내다보고 반성적으로 성찰하며 앞으로의 길을 개척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에 대한 평가를 활용하여서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하도록 한다.
마. 교과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 학습 및 평가의 일관성을 강화한다.
-> 수업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일체화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자 현장 교사들에게 끝없는 숙제이다. 많은 교사들이 목표-내용-방법-평가의 일체화를 외치면서도 평가할 때는 다른 요소를 평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사는 수업을 끝없이 돌아보며 수업의 일관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될 것이다.
바.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하여 산업사회가 필요로 하는 기초 역량과 직무 능력을 함양한다.
-> 이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에게 해당된다. 특성화고등학교에 해당되는 교사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잘 이해해야 된다.
사.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개별적인 특성을 고려한 교육을 강조하여 개별 학생의 역량을 강화한다.
-> 이는 특수교사에게 해당된다. 개별화교육계획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 22조(개별화교육) 및 시행령 4조에서 아주 중요하게 설명하고 있는 부분이고, 전공자라면 외우고 다녀야되는 항목이다.
'특수교육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교육의 학교(급)별 목표 (1) 2020.03.31 퀴블러로스의 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1) 2019.11.14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중학교 (2) (1) 2019.11.13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중학교 (1) (0) 2019.11.12 특수학교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2) (0) 2019.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