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정서 및 행동장애의 분류애 대해 알아보자
    정서 및 행동장애 2020. 3. 19. 12:40

    오늘은 정서 및 행동장애의 분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전의 포스팅에서 정서 및 행동장애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관련링크 : https://speciledu.tistory.com/17?category=352613)

    그런데 정의는 정서 및 행동장애의 법적정의를 의미한 것이었기 때문에 오늘 포스팅에서는 

    전체적인 정의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정서 및 행동장애는 4가지의 범주로 나타낼 수 있다.

    1. 법적 정의의 정서 및 행동장애 학생

    2. 임상적 정의의 정서 및 행동장애 학생

    3. 교육적 정의의 정서 및 행동장애 학생

    4. 모든 학생


    1. 법적 정의의 정서 및 행동장애 학생은 총 5가지의 범주로 나뉜다.

    시행령 제10(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기준제 5항 정서 행동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는 다음과 같다.

    장기간에 걸쳐 다음 각 목 어느 하나에 해당하며특별한 교육적 조치가 필요한 사람

    지적 감각적 건강상의 이유로 설명할 수 없는 학습상의 어려움을 지닌 사람

    또래나 교사의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

    일반적인 상황에서 부적절한 행동이나 감정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전반적인 불행감이나 우울증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학교나 개인 문제에 관련된 신체적인 통증이나 공포를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2. 임상적 정의는 DSM-5로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정신의학적인 분류라고도 한다. 하지만 DSM-5의 기준으로는 특수교육대상자로 판별할 수는 없다. 장애학생의 증상을 체계화 및 구체화하고 다른 이들과 장애에 대해 소통이 용이하도록 만들어진 도구라고 생각하면 된다.


    3. 교육적 정의는 중재와 예방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학생을 가르친다. 이 때 내재화와 외현화로 나뉘는데 내재화는 과잉 통제 즉 불안이나 우울 등 개인 내적의 요인으로 인하여 학습상에 어려움을 지닌 사람을 의미하고 외현하는 통제 결여로 인하여 반사회적인 양상, 품행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등이 나타나는 것을 포함한다.


    정서 및 행동장애의 분류체계와 하위항목에 대해서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이 포스팅을 하게 되었다. 앞으로는 정서 및 행동장애에 대해 조금 깊게 들어가 보고자 한다.



특수교사의 특별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