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서 및 행동장애란 무엇인가?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정서 및 행동장애 2019. 10. 10. 10:00
이번에는 정서행동장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정서행동장애에 대해서 정의하는 일반적인 정의는 개인 발달이나 타인의 생활 혹은 그 둘 모두를 방해하는 행동으로 일반적으로 기대되는 것 보다 정도나 강도가 심하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특성을 나타내는 사람이라고 명명한다.
그렇다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통해서 알아보자.
시행령 제10조(특수교육대상자의 선정 기준) 제 5항 정서 행동장애를 지닌 특수교육대상자는 다음과 같다.
장기간에 걸쳐 다음 각 목 어느 하나에 해당하며, 특별한 교육적 조치가 필요한 사람
가. 지적 감각적 건강상의 이유로 설명할 수 없는 학습상의 어려움을 지닌 사람
나. 또래나 교사의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
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부적절한 행동이나 감정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라. 전반적인 불행감이나 우울증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마. 학교나 개인 문제에 관련된 신체적인 통증이나 공포를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정서 및 행동 장애를 진단평가 하기 이해서는 다양한 선별검사를 실시하는데 이의 근거가 특수교육법 시행규칙 제 2조 1항이다. 이를 살펴보자.
시행규칙 제2조(장애의 조기발견 등)
① 교육장 또는 교육감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14조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선별검사나 진단ㆍ평가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별표에 따른 검사를 각각 실시하여야 한다.
② 보호자 또는 각급학교의 장은 법 제15조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의심되는 영유아 및 학생을 발견하여 진단ㆍ평가를 의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지 제1호서식에 따른 진단ㆍ평가의뢰서를 작성하여 교육장 또는 교육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③ 교육감 또는 교육장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9조제5항에 따라 진단ㆍ평가의 결과를 영유아 및 학생의 보호자에게 알릴 때에는 별지 제2호서식에 따른다.
2조 1항에서 말하는 별표에 따른 검사는 다음과 같다.
[별표] 특수교육대상자 선별검사 및 진단평가영역(제 2조 1항 관련)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1. 적응행동검사
2. 성격진단검사
3. 행동발달평가
4. 학습준비도검사
이러한 평가들을 통하여 정서 및 행동장애를 최종적으로 정의하게 된다. 정서 및 행동장애에는 내면화된 장애와 외현화된 장애 그리고 기타장애로 나뉘어져 있는데, 각각의 항목에는 DSM-5에 근거하여서 다양한 장애들이 명시되어 있다. 이를 모두 다루기에는 꽤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우리가 당장 알아야되는 것은 선별과정에 대해서이다. 다음 포스팅에는 정서 및 행동장애의 선별과정과 평가도구 등을 차례로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정서 및 행동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 및 행동장애의 분류애 대해 알아보자 (1) 2020.03.19 정서 및 행동장애의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보자(3) (0) 2019.10.30 정서 및 행동장애의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보자(2) (0) 2019.10.29 정서 및 행동장애의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보자(1) (0) 2019.10.28 정서 및 행동장애의 선별검사(SSBD) (0) 2019.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