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서 및 행동장애의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보자(2)정서 및 행동장애 2019. 10. 29. 10:00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정서 및 행동장애의 요인인 환경요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환경요인은 크게 가족의 구조, 애착, 훈육, 아동학대가 원인이 되는데 자세하게 알아보자.
먼저 첫 번째는 가족의 구조이다. 가족의 구조란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가정 폭력이나 형제에 대한 정신적 차별 등이 원인이 되는데 이는 아동의 지능과는 상관없이 이러한 상황에 처해져 있다는 것 만으로도 아동은 스트레스를 받고 정서및 행동장애가 생길 수 있다. 아주 극단적인 예로 지능지수가 최상위에 드는 영재아동도 부모의 차별이나 방치 등은 아동의 잠재력을 키워주지 못할 뿐 아니라 적대적반항아, 품행장애아동이 나타나기도 한다.
두 번째는 애착이다. 애착이란 어릴 적 엄마와 아동 사이에서의 정서교감이나 유대감을 애착이라고 하는데 통상적으로 아동이 발달할 때 3개월-36개월 사이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 사이에 부모님과 충분한 정서교감이 되지 않는다면 아이는 불완전애착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애착에 대해서 자세히 이야기하자면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애착의 첫 번째는 안정적인 애착이다. 이는 부모와 아이 간에 안정적으로 상호작요을 하였으며 적절한 유대감이 쌓인 아동을 말한다. 즉 어머니를 '안전하다'(secure base)라고 생각을 하는 것인데 부모와 떨어진 시간에는 불안한 모습을 보일 수 있지만 부모님과 함께라면 안심하고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애착의 두 번째는 회피애착이다. 두번째부터 네 번째까지는 불완적애착으로 분류한다. 회피애착은 부모님이 아이의 반응이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이 원인이 된다. 이는 아이와의 신체접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인데 이러한 상황에서 자라난 아이들은 엄마가 없어도 울거나 찾지 않고 엄마가 있어도 엄마와 지속적으로 교류하는 모습을 보이지 못한다.
애착의 세 번째는 저항애착이다. 저항애착은 아이가 울거나 떼를 쓸 때만 부모님이 반응하는 경우에 생기는 애착인데 여기에서 아동은 무조건 울거나 떼를 써야 엄마가 반응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과잉해서 떼를 쓰기도 한다. 또한 부모님 옆에서도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어머니에게 안정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애착의 네 번째는 혼란애착이다. 혼란애착이란 주로 부모님의 심리가 안정적이지 못할 때 생기는 애착인데 부모님이 사회적 경제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태이거나 실연에 빠졌을 등 혼란애착에 빠질 수 있다. 혼란애착에서는 어머니가 위안의 대상인지 불안의 대상인지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엄마를 외면할 수 있는데 엄마가 안아주어도 먼산을 바라보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세 번째는 훈육이다. 훈육이란 아이를 지도함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인데 훈육이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너무 자주 훈육하는 경우, 과잉훈육하는 경우 등 아동이 불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훈육을 할 때에는 정서 및 행동장애가 발현될 수 있다.
훈육의 첫 번째는 권위적 훈육이다. 권위적 훈육이란 가장 효과가 좋은 양육형태인데 부모님이 훈육 후 아동이 잘못을 인정하면 너를 싫어서 혼낸 것이 아니라 잘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해주며 격려하는 형태이다. 이 때에 훈육의 효과가 가장 크다.
훈육의 두 번재는 귄위주의적 훈육이다. 권위적이란 것은 강압적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부모님이 아이의 요구에 반응하지 않으면서도 엄격하게 아이의 생활반경을 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아동은 부모님이 나를 싫어하기 때문에 훈육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는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훈육의 세 번째는 관대한 훈육이다. 부모님이 아동이 자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매우매우 관대하게 훈육을 하는 것인데 이 때 아동은 내가 어떤 행동을 해도 저지할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더욱 성질을 낼 수 있다.
훈육의 마지막 형태는 무관심한 훈육이다. 무관심한 훈육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훈육하지 않는 것이다. 즉 아동이 무슨 행동을 하던간 아무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인데 이 때 관대한 훈육보다 더욱 아이가 삐뚫어질 가능성이다.
네 번재는 아동학대이다. 아동학대는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폭력이 아동의 신체나 정신적인 성장요소를 방해하고 저지한다고 할 수 있다. 아동학대는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이루어져서는 안 될 사항이다.
지금까지 환경요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환경요인에는 가족의 구조, 애착, 훈육, 아동학대가 원인이 될 수 있는데 무엇보다 가정 내에서 알아야 되는 것은 아이는 혼자 키우는 것이 아니다. 엄마에게서 애착형성이 많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아버지가 무관심한 것도 영향이 될 수 있다. 아이를 키울 때 아버지도 함께 아이를 사랑으로 양육하고 훈육하면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다음은 마지막으로 생태학적인 요인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정서 및 행동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 및 행동장애의 분류애 대해 알아보자 (1) 2020.03.19 정서 및 행동장애의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보자(3) (0) 2019.10.30 정서 및 행동장애의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보자(1) (0) 2019.10.28 정서 및 행동장애의 선별검사(SSBD) (0) 2019.10.15 정서 및 행동장애란 무엇인가?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0) 2019.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