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
모델링 기법에 대해 알아보자정서 및 행동장애 2020. 3. 23. 10:00
오늘은 모델링의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교육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모델링은 교사나 부모가 하는 행동을 보고 아동이 따라 해 봄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을 습득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쉽게 말해서 엄마가 옷을 입으면서 단추를 꿰는 모습을 보고 아동도 따라서 단추를 꿰어 보기도 하고, 엄마가 화장실에서 물을 내리고 나오는 모습을 보면서 아동도 변기를 활용하는 법을 배운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링은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아빠가 담배를 피는 모습을 보고 아동은 연필을 입에 가져다대며 담배피는 모습을 보여준다던지, 술을 먹는 모습을 보면서 물잔의 물을 먹으며 캬~라고 술 마시는 행위를 따라하는 것이 이에 해당된다. 오늘 알아..
-
대칭성 긴장성 목반사에 대해 알아보자 (symmetric tonic neck reflex)지체장애 2019. 11. 3. 10:00
오늘은 지체장애의 반사반응인 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는 (STNR)이라고도 하며 이또한 비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ATNR)과 같이 신생아 때 본능적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정위반응이 소거되지 않고 남아있음으로 인해서 일상생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ATNR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https://speciledu.tistory.com/29] STNR은 경부반사가 대칭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대칭성 긴장성 목반사 혹은 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라고 일컫는다. 그렇다면 STNR의 증상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STNR은 머리와 몸통의 움직임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신전 혹은 굴곡현상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
-
흰지팡이 이야기시각장애 2019. 10. 17. 10:00
사진 : 흰지팡이 오늘은 시각장애 흰지팡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위 사진은 필자의 집에 있는 지팡이이다. 이틀전인 10월 15일은 흰지팡이의 날이기 때문에 특별히 이 글을 써 보았다. 흰지팡이는 시각장애인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지정된 날이다. 흰지팡이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흰 지팡이는 3단계로 구성되어있다. 먼저 그립감을 편하게 해주는 손잡이, 흰색 몸통인 자루, 땅에 직접적으로 닿는 팁이다. 여기에서 몸통을 흰색으로 구성한 이유는 어디서든지 시각장애인의 지팡이임을 인식하게 하고 자동차나 사람들이 시각장애인을 배려하게 하기 위함이다. 자세히 보면 왼쪽 지팡이와 오른쪽 지팡이가 다른데 오른쪽 지팡이는 팁이 석고질로 되어 있어서 점점 닳지만 왼쪽은 팁만 갈 수 있고 팁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
지적장애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지적장애 2019. 10. 13. 10:00
오늘은 지적장애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지적장애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 크게는 유전이나 염색체의 원인이 있을 수 있고 환경이나 사회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 많은 분들꼐 받는 질문 중 ‘지적장애가 아이를 낳으면 유전이되나요?’ ‘둘째아이를 가지려고 하는데 혹시 유전이 되나요?’와 같은 질문들을 받는다. 이것에 대한 답은 어느 특수교사도 명확하게 해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지적장애를 가진 사람이 아이를 낳았을 때 아이가 지적장애가 아닌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첫째가 장애를 가졌다고 해서 둘째가 장애가 아닌 경우도 있고, 첫째와 둘째 모두 지적장애를 가진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단순히 지적장애는 유전적인 이유에만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환경..
-
대한민국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핵심역량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7. 10:00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핵심역량 - 우리나라 교육을 배경으로 - 오늘의 포스팅은 정확하게 특수교육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다. 오늘은 대한민국의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핵심 역량에 대해 이야기 해 보려고 한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각 나라는 나라에서 추구하는인재가 있는데 이를 추구하는 인간상 이라고 정의한다. 때문에 추구하는 인간상을 안다는 것은 교육자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추구하는 인간상 [출처 : 교육부] 우리나라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천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과 교육 목적을 바탕으로, 이 교육..
-
개별화교육계획은 무엇인가?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5. 10:00
오늘은 특수교육에서 정말 중요한 개념인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매 학기마다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고 이 계획을 시작과 끝에 학부모에게 공개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개별화교육계획은 학기 중에 학부모가 원할 시 언제든지 열람 가능하도록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그렇다면 특수교육법 제 22조에서 말하는 개별화교육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자.제22조(개별화교육) ① 각급학교의 장은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호자, 특수교육교원, 일반교육교원, 진로 및 직업교육 담당 교원,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담당 인력 등으로 개별화교육지원팀을 구성한다.② 개별화교육지원팀은 매 학기 마다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개별화교육계획을 작성하여야 한다.③ 특수교육대상자가..
-
특수교육 교육과정 성격은 무엇인가?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4. 10:00
오늘은 교육과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교육과정이라는 단어는 많이 들어본 개념일 것이다. 그렇다면 특수한 아이들 [특수교육 대상자]의 교육과정은 어떤 특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해석 해 보았다. 오늘은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을 인용하여서 교육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출처 : 교육부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유아교육법 제 13조 2항, 초중등 교육법 제 23조 2항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 20조 1항에 근거하고 있다. 유아교육법 제 13조 2항 (교육과정 등) ②교육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교육과정 및 방과후 과정의 기준과 내용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하며, 교육감은 교육부장관이 정한 교육과정 및 방과후 과정의 범위에서 지역 실정에 적합한 기준과 내용을 정할 수 있다. 초중등 교육법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