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적장애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지적장애 2019. 10. 13. 10:00
오늘은 지적장애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지적장애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 크게는 유전이나 염색체의 원인이 있을 수 있고 환경이나 사회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
많은 분들꼐 받는 질문 중 ‘지적장애가 아이를 낳으면 유전이되나요?’ ‘둘째아이를 가지려고 하는데 혹시 유전이 되나요?’와 같은 질문들을 받는다. 이것에 대한 답은 어느 특수교사도 명확하게 해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지적장애를 가진 사람이 아이를 낳았을 때 아이가 지적장애가 아닌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첫째가 장애를 가졌다고 해서 둘째가 장애가 아닌 경우도 있고, 첫째와 둘째 모두 지적장애를 가진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단순히 지적장애는 유전적인 이유에만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환경적 요인을 알아보면 크게 네 가지 분류가 있다. 크게 의학적 요인, 사회적 요인, 행동적 요인, 교육적 요인으로 나뉜다. 이는 다시 출생 전, 출생 시 출생 후로 나뉘어지며 각각의 과정에 따라 지적장애가 발현될 수 있다.
먼저 의학적 요인이다. 먼저 아기가 뱃속에 있을 때 인데 이 때는 산모의 감염이나 유전적 요인이 기여된다. 최근에는 산모의 연령대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 또한 장애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산모의 나이가 많아지면 저체중아이를 낳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근거자료 :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43315
또한 낳을 때 태아에게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거나 과잉산소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지적장애가 발현될 수 있고, 출산 시에 신생의 내외적인 이유로 질환이 올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마지막으로 출생 후에는 2차적인 감염이나 출생 후 충분하지 못한 영양공급, 낙상 등의 이유로 입혀지는 외상성뇌손상 등이 이유가 될 수 있다.
두 번쨰로는 사회적 요인이다. 가장 큰 이유중 하나는 빈곤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아이를 가진 산모가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하였을 때 태내에 있는 아이에게도 충분한 영양분이 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 때 지적장애가 발현될 수 있고, 출산 이후에도 사회적인 요인으로 아이가 성장하는 데 있어서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하였을 때 지적장애가 발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정환경이 기여되는데, 가정에서 폭행, 무시, 감금 등을 통해서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가 충분했을 때 지적장애가 발현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행동적인 요인이다. 이는 사회적 요인과 약간 다른 면이 있는데 첫 번째는 부모님이 음주나 약물등을 섭취하여서 아이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 이유가 된다. 이를 포함하여서 아이의 성장발달에 따른 적절한 사랑을 주지 못하였을 때 지젹장애가 발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교육적 요인이다. 이는 부모의 부적절한 교육이 문제가 되는데, 부모님 뿐만 아니라 적절한 시기에 특수교육 및 관련서비스를 받지 못한 것도 이유가 된다. 장애 혹은 경계선상이 되는 아이에게는 적절한 진단평가를 받고 그에 따른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아이에게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지적장애가 발현 혹은 심화될 수 있다. 때문에 부모와 특수교사는 항상 아이의 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건강하고 올바른 아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부단히 노력해야 될 것이다.
오늘은 지적장애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지적장애는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으로 나뉘어지는데, 이 포스팅에서는 환경적인 요인을 중점으로 다루어보았다. 이러한 이유는 추후 포스팅들이 유전이나 병리학적인 이유를 다룰 것이기 때문이다.
'지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S(Supports Intensity Scale)의 평가 계획 (0) 2019.11.01 SIS(Supports Intensity Sclale)에 따른 지원의 분류 (0) 2019.10.31 지적장애의 특성 주의집중에 대해 알아보자 (Attention concentration) (0) 2019.10.20 지적 장애 (intellectual disability) (0) 2019.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