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특수교육 대상자의 차별금지에 대해 알아보자.특수교육법 2019. 10. 23. 10:00
오늘은 특수교육 대상자의 차별금지에 대한 법률에 해서 알아보자.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약칭 : 특수교육법) 제 4조 (차별의 금지)를 근거로 알아보려고 한다. 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 특수교육법 제 4조는 다음과 같다.제4조(차별의 금지) ① 각급학교의 장 또는 대학(「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를 말한다. 이하 같다)의 장은 특수교육대상자가 그 학교에 입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가 지닌 장애를 이유로 입학의 지원을 거부하거나 입학전형 합격자의 입학을 거부하는 등 교육기회에 있어서 차별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위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 제 4조 1항에 대해 해석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만약 A 학생이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 학생이 집 앞에 동그라미 초등학교에 진학하려고 할 때 교장..
-
비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 (ATNR: Asymmetric tonic neck reflex)지체장애 2019. 10. 22. 10:00
오늘은 원시반사중 하나인 비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원시반사는 비대칭성경부반사, 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 긴장성 미로반사, 양성지지반응, 음성지지반응 등이 있는데 원시반사는 신생아 때에 나타내는 반사이다. 원시반사를 포스팅하는 이유는 보통 신생아 때 일어났다가 없어져야 하는 반응이지만 중추신경계의 미성숙 등의 이유로 사라지지 않아서 장애의 요소가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비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 (이하 : ATNR)은 몸의 돌리는 방향에 따라 상지와 하지가 모두 신전되고 반대쪽은 모두 굴곡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를 ‘펜싱자세’라고 말하기도 한다. 사진출처 : https://images.app.goo.gl/k4j6RS2E35zMPtZ38 ATNR을 가진 아동들은 한쪽 방향으로 모두 ..
-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의사소통 특징자폐성장애 2019. 10. 21. 10:00
오늘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이하:ASD) 학생들의 의사소통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ASD는 먼저 구어발달에 있어서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이 많다. 말을 하려고 시도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끔 이런 이야기를 하면 ‘우리아이는 배고플 때 울어요’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다. 하지만 이는 의사소통을 하고 싶어서 우는 것이 아니다. 생존을 위한 울음이다. 예를 들어서 배가고픈데 밥을 먹을 수 없을 때 자신이 스스로 밥을 지어서 먹지 못하므로 “배가 고파요. 밥을 안 먹으면 힘들어요.”라고 소리지르는 것과 똑같다. 구어발달을 시작할 때 어려움이라는 것은 엄마나 또래와 의사소통을 전혀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엄마가 “우리 블록 가지고 놀자”라고 했을 때 엄마를 쳐다보지도 않고 혼자 내 놀이를..
-
지적장애의 특성 주의집중에 대해 알아보자 (Attention concentration)지적장애 2019. 10. 20. 10:00
먼저 주의집중을 주제로 포스팅하는 이유는 지적장애의 특성을 나타내는 단계 및 범위는 총 세 가지로 구성되어있음을 이야기하고자 함이다. 오늘은 그 중 하나인 주의집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주의집중은 학생이 어떠한 유용한 정보를 학습하고자 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학생은 선생님이나 부모에게 주의집중을 함으로써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 및 개념을 학습하고 이를 적절히 반복하여 일상생활에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주의집중은 두 가지로 나뉘어지는데 첫 번째는 선택적 주의집중이다. 선택적 주의집중이란 나에게 놓여진 여러 가지 선택지 가운데서 가장 집중해야 되는 정보를 골라서 집중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서 선생님이 수업하는 소리와 바깥에서 들리는 데모소리, 옆의 친구의 울음소리 ..
-
시각장애인에 대한 에티켓은 무엇이있는가 (안내법편)시각장애 2019. 10. 19. 10:00
오늘은 시각장애인을 만났을 때 에티켓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선정 내용들은 필자가 시각장애와 관련된 일을 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질문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준비해 보았다. 1. 처음 만났을 때 “안녕하세요 저는 000입니다.”라고 자신의 이름을 명확하게 말해주세요.-> 시각장애인이 가장 많이 기억하는 요소는 말소리와 손이다. 그래서 안녕하세요 저의 이름은 000입니다. 라고 말하고 손을 내어 악수를 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하지만 공공의 자리에서는 목소리로만 인사해도 무방하다. 2. 안내를 할 때 “제가 안내 해 드려도 되겠습니까?”라고 물어보고 팔꿈치를 내어주세요. 안내가 필요없다고 하는 경우에는 안내하지 않아도 됩니다.-> 안내를 할 때에 가장 기본적인 매너라고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안내가 ..
-
보청기에 대해 알아보자 (Hearing aid)청각장애 2019. 10. 18. 10:00
오늘은 보청기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한다. 보청기의 주된 역할은 음을 증폭시키는 역할이다. 이 점이 인공와우와 다른 점인데, 인공와우는 감음에 대한 기기이다. (추후 포스팅하겠다.) 그렇다면 보청기는 어떤 사람이 사용하는가? 주로 전음성 장애를 가진 아동이나 노인들이 많이 쓴다. 노인들이 보청기를 사용하는 것은 다들 기본적으로 알고있는 상식이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노인 이외에 전음성 아동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음성과 감음신경성의 차이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https://speciledu.tistory.com/15청극의 경로에 따른 청각장애 원인은 무엇일까?보청기의 구조는 먼저 소리가 들어가는 이어폰과 증폭하는 증폭기 그리고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말해 보청기를 통해..
-
흰지팡이 이야기시각장애 2019. 10. 17. 10:00
사진 : 흰지팡이 오늘은 시각장애 흰지팡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위 사진은 필자의 집에 있는 지팡이이다. 이틀전인 10월 15일은 흰지팡이의 날이기 때문에 특별히 이 글을 써 보았다. 흰지팡이는 시각장애인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지정된 날이다. 흰지팡이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흰 지팡이는 3단계로 구성되어있다. 먼저 그립감을 편하게 해주는 손잡이, 흰색 몸통인 자루, 땅에 직접적으로 닿는 팁이다. 여기에서 몸통을 흰색으로 구성한 이유는 어디서든지 시각장애인의 지팡이임을 인식하게 하고 자동차나 사람들이 시각장애인을 배려하게 하기 위함이다. 자세히 보면 왼쪽 지팡이와 오른쪽 지팡이가 다른데 오른쪽 지팡이는 팁이 석고질로 되어 있어서 점점 닳지만 왼쪽은 팁만 갈 수 있고 팁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
소아당뇨에 대해 알아보자. (Suggestions for childhood diabites)건강장애 2019. 10. 16. 10:00
오늘은 소아당뇨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흔히들 당뇨는 알지만 소아당뇨는 잘 알지 못한다. 오늘은 소아당뇨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소아당뇨를 가진 학생들에게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0~14세에 발병한 것은 유아 및 소아 당뇨병, 15~24세에 발병한 것은 청년 당뇨병이라고 한다(출처 : .WHO). 소아당뇨란 태어날 때부터 인슐린이 만들어지지 않는 당뇨를 의미한다. 하지만 소아당뇨를 잘못 오해하고 있는 사람들은 아동이 뚱뚱해서, 단 것을 많이 먹어서 소아당뇨가 생겼다고 오해할 수 있다. 때문에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소아당뇨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짜고 단 음식, 한국인의 식습관 등의 이유로 현대 당뇨병이라는 병명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당뇨병은 제 2형당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