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서 및 행동장애의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보자(1)정서 및 행동장애 2019. 10. 28. 10:00
오늘은 정서 및 행동장애와 관련된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정서 및 행동장애는 크게 생물학적요인, 환경적요인, 생태학적 요인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는데 오늘은 그 중 하나인 생물학적인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생물학적인 원인은 아이가 가지고 태어나는 선천적인 요소와 태어날 당시 환경이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크게 유전적인 요인, 뇌손상 등 기능의 손상 요인, 기질(temperament), 기타 건강상의 문제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유전적인 요인이다. 유전적인 요인은 아이가 가지고 태어나는 유전자의 손상이라고 할 수 있다. 부모가 같더라도 형제끼리 가지고 태어나는 유전자가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형제의 성격이 다르기도 하고 태어나서 환경적인 요소에 얼마나 영향을 받았는지에 따라서도 정서 및 행동장애의 발현과 심각성이 다르다.
두 번째는 뇌손상 등 뇌의 기능적인 이상이다. 뇌손상은 태내에 있을 때 감염이나 산모가 평소 복용하던 약이 아이에게 영향을 미쳤을때 출산시 산소가 부족할때 등 다양한 요인이 뇌손상의 기능적인 이상을 초래한다. 이 때 전두엽에 손상이 있다면 복잡한 사고가 어려우며 이는 정서 및 행동장애에서도 ADHD의 발현이 될 수 있다.
세 번째는 기질적인 요인이다. 기질적인 요인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성향이나 질병소를 의미한다. 기질은 아동이 가보이는 아홉가지 유형으로 행동을 특정하는데 규칙성 ,활동 준수, 접근/회피, 적응성 기분의 질, 반응 역치, 반응 강도, 주의산만, 지속성으로 특정한다. 이 요소들은 크게 세 가지 기질로 다시 나뉘어진다.
첫 번째는 순한기질이다. 순한 기질은 부모나 선생님의 말에 잘 순종하고 또래의 관계에서 원만하게 적응하는 아이이다. 따라서 사회에서 문제를 잘 일으키지 않으며 사람들과 잘 섞여서 살아가는 아이이다.
두 번째는 까다로운 기질이다. 까다로운 기질을 가진 아동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다. 이 아이들은 어릴 때 불규칙한 수면, 수유시간을 보이기도 하는데 몇몇의 아이들은 배변에 문제를 가지기도 한다. 또한 활동 시간이 많고 장난감 등을 오래 가지고 놀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쉴새 없이 자리를 옮기고 산만한 모습을 보인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하는 점은 까다로운 기질을 가진 아동은 정서 및 행동장애가 발현될 수 있는 위험이 높다는 것이지 절대 정서 및 행동장애가 아님을 명심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아이들은 배변 및 여타 행동습관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느린 기질의 아이이다. 느린 기질의 아이는 서서히 환경에 적응하는 아이를 의미한다. 느린 기질의 아이는 위 순한 기질과 까다로운 기질을 모두 가지고 있을 수 있는데, 이 두가지 기질을 가지더라도 환경에 느리게 적응하면서 결론적으로는 또래와 상호작용을 잘 할 가능성이 크다.
네 번째로는 기타 건강상의 문제이다. 기타 건강상의 문제는 아이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던 특정한 질병 때문에 성장의 속도가 더뎌지기도 하며 까다로운 기질을 가진 아이가 될 수 있다. 질병상의 문제로 행동패턴에 영향이 생길 수 있고 이는 정서 및 행동장애로 발현되기도 한다. 단 이 아이들도 위험이 높다는 것이지 절대 정서 및 행동장애아동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오늘은 정서 및 행동장애와 관련된 요인인 생물학적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환경적인 요인과 생태학적인 요인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정서 및 행동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 및 행동장애의 분류애 대해 알아보자 (1) 2020.03.19 정서 및 행동장애의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보자(3) (0) 2019.10.30 정서 및 행동장애의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보자(2) (0) 2019.10.29 정서 및 행동장애의 선별검사(SSBD) (0) 2019.10.15 정서 및 행동장애란 무엇인가?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0) 2019.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