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은 무엇인가?특수교육의 이야기 2020. 3. 22. 13:00
오늘은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먼저 이 포스팅을 이해하기 전에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성격(교육의 이념)에 대해서 이해하고,https://speciledu.tistory.com/11?category=352105대한민국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핵심역량에 대해서 이해하여야 한다.https://speciledu.tistory.com/14?category=352105위 포스팅을 읽고 오지 않았다면 필히 다시 읽기를 바란다. 그렇다면 오늘은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2015 총론에 의거해 교육과정의 구성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추구해 온 교육 이념과 인간상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중학교 (1)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1. 12. 10:00
오늘은 공통 중심과정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앞에서 포스팅했듯이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공통교육과정을 배우기 어려운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교육과정을 의미한다. 오늘은 이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을 중학교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는 교육부 고시 제 2015-81호임을 명시한다. 중학교가. 편제와 시간배당 기준1) 편제가) 중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과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한다.-> 중학교 교육과정은 단순히 교과 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도 포함된다. (라) 참고나) 교과(군)는 국어, 사회(역사 포함)/도덕, 수학, 과학/기술가정/정보,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선택으로 한다.다) 선택 교과는 한문, 환경, 생활 외국어(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
-
특수학교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2)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25. 10:00
오늘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이 포스팅은 특수학교 및 학급을 기준으로 작성하였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에 근거하였다. 카. 범교과 학습 주제는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 교육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다루도록 하고, 지역사회 및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한다. 범교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안전 건강교육, 인성교육, 진로교육, 민주 시민 교육, 인권교육, 다문화교육, 통일교육, 독도교육, 경제 금융 교육, 환경 지속발전 교육-> 총론에 근거하여 위 범교과 교육들은 학생들에게 반드시 가르쳐야 되는 교수요목이다. 타. 학교는 필요에 따라 계기교육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계기교육 지침에 따른다.-> 계기교육이란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
-
특수학교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1)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24. 10:00
오늘부터는 특수학교 초중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려 한다. 이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총론을 해석하였다.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기준을 통해서 특수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되었으면 한다. 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 중심 교육과정 또는 기본교육과정으로 편성한다. -> 공통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나.를 보기 바란다. 기본교육과정은 공통교육과정 및 선택중심교육과정 적용이 어려운 학생에게 교육하는 교육과정이다. 나. 공통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편성‧운영한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의미한다. 우리가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할 때 다양한 형태의 고등학교를 선..
-
대한민국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핵심역량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7. 10:00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핵심역량 - 우리나라 교육을 배경으로 - 오늘의 포스팅은 정확하게 특수교육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다. 오늘은 대한민국의 추구하는 인간상 및 핵심 역량에 대해 이야기 해 보려고 한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각 나라는 나라에서 추구하는인재가 있는데 이를 추구하는 인간상 이라고 정의한다. 때문에 추구하는 인간상을 안다는 것은 교육자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추구하는 인간상 [출처 : 교육부] 우리나라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천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과 교육 목적을 바탕으로, 이 교육..
-
특수교육 교육과정 성격은 무엇인가?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4. 10:00
오늘은 교육과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교육과정이라는 단어는 많이 들어본 개념일 것이다. 그렇다면 특수한 아이들 [특수교육 대상자]의 교육과정은 어떤 특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해석 해 보았다. 오늘은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을 인용하여서 교육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한다. 출처 : 교육부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유아교육법 제 13조 2항, 초중등 교육법 제 23조 2항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 20조 1항에 근거하고 있다. 유아교육법 제 13조 2항 (교육과정 등) ②교육부장관은 제1항에 따른 교육과정 및 방과후 과정의 기준과 내용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하며, 교육감은 교육부장관이 정한 교육과정 및 방과후 과정의 범위에서 지역 실정에 적합한 기준과 내용을 정할 수 있다. 초중등 교육법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