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폐스펙트럼장애란 무엇인가?자폐성장애 2019. 9. 28. 12:40
이번 장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Autism spectrum disorders라고 명명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다양하게 불리우기도 하는데,
‘자스’, ‘자폐’, ‘ASD’ 등으로 부른다.
필자는 ASD라고 부르는데, 이는 전문직 안에서도 다양하게 불리운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근거에 대해 알아보자.
ASD는 DSM-5의 준거에 근거한다.(DSM-5은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을 줄인 말로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을 의미한다.) 크게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흥미와 활동으로 나뉘어진다. 이 3가지 틀에 준거하여서 아동을 진단평가 하며 3세 이하에 증상이 나타나야 한다. 출처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 교육의 실제
DSM-5에 기술된 발달장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진단기준
A.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나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으로 이는 다음 세 가지 모두가 현재 또는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나타나야 한다.
1. 사회적-감정적 상호작용의 결함
2.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행동의 결함
3. 관계 발전, 유지 및 관계에 대한 이해의 결함 [예 : 또래 관계의 어려움]
B.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이나 흥미, 활동이 현재 또는 과거력상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가지 이상 나타난다.
1. 상동행동이나 반복적인 운동성 동작, 물건 사용 또는 말하기 (예 : 특이한 문구를 사용하기, 자전거 바퀴 돌리기, 자동차 장난감 일렬로 세우기)
2. 동일성에 대한 고집, 일상적인 것에 대한 융통성 없는 집착 (예 : 같은 느낌이나 미각의 음식만 먹기, 일상생활에서 융통성 없는 행동 등)
3.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극도로 제한되고 고정된 흥미(예 : 특정한 물건이나 특이한 물건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경향, 한 가지 취미만 가지고 다른 자극에 반응하지 않음 / 지하철이나 버스 노선도에 대한 집착)
4. 감각 정보에 대한 과잉 또는 과소반응, 또는 환경의 감각 영역에 대한 특이한 관심(예, 특정한 통증이나 온도에 지나칠 정도의 무관심, 엄마가 부르는 소리 등에 대한 부정적 반응 혹은 무반응, 냄새맡기를 즐기는 경향, 빛에 대한 관심 혹은 무관심)
C. 증상은 반드시 초기 발달 시기부터 나타나야 한다.
D. 이러한 증상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현재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뚜렷한 손해를 초래한다.
E. 이러한 장애는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 또는 전반적 발달지연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 만약에 지적장애와 같이 판정을 받으려면 사회적 의사소통이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수준에 기대하는 것 보다 낮아야 한다.
주의점 : DSM-5의 진단기준상 자폐성장애, 아스퍼거 장애 또는 달리 분류되지 않는 광범위성 발달장애로 진단된 경우에는 자폐스펙트럼자애의 진단이 내려져야 한다. 사회적 의사소통에 뚜렷한 결함이 있거나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다른 진단 항목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회적(실용적)의사소통 장애로 평가해야 한다.
부가설명을 하자면
C. 증후가 초기 발달시기에 나타나야 한다. - 증후가 3세 이전에 나타나야 한다.
D. 현재 다른 기능영역에서 뚜렷한 손해를 초래한다. - 사회성(사람과 사람사이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긴다.
E. ASD가 지적장애와 동신에 진단이 되려면 지능보다 사회적 의사소통이 더 떨어져야 한다. 라고 해석할 수 있다.
출처 :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 교육의 이론과 실제, Erin e. barton, beth ham 저, 박계신, 박현옥, 이효신 역
'자폐성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실행기능 결함에 대해 알아보자(executive functions) (0) 2019.11.02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의사소통 특징 (0) 2019.10.21 자폐스펙트럼 아이의 마음이론과 중재 (theory of mind) (30) 2019.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