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스
-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실행기능 결함에 대해 알아보자(executive functions)자폐성장애 2019. 11. 2. 10:00
오늘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이하 ASD)의 인지적 접근 중 하나인 실행기능 결함을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먼저 실행기능이란 한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으로, 무엇을, 언제, 누구와 해결할 것인지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계획하고 실행하는 기능에 대한 결여라는 것은 나이가 아주 어린 아동에게도 가능한 일인데 예를 들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밥을 먹은 후 먹고 난 그릇을 제자리에 가져다 두는 것도 실행기능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실행기능의 결함은 대인관계와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데, 이는 아동심리치료 학회지의 말을 인용 해 보고자 한다.실행기능 결함이 낮은 집단의 또래관계가 가장 긍정적이었으며, 반대로 실행기능 결함이 높은 집단의 또래관계가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즉..
-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의사소통 특징자폐성장애 2019. 10. 21. 10:00
오늘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이하:ASD) 학생들의 의사소통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ASD는 먼저 구어발달에 있어서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이 많다. 말을 하려고 시도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끔 이런 이야기를 하면 ‘우리아이는 배고플 때 울어요’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다. 하지만 이는 의사소통을 하고 싶어서 우는 것이 아니다. 생존을 위한 울음이다. 예를 들어서 배가고픈데 밥을 먹을 수 없을 때 자신이 스스로 밥을 지어서 먹지 못하므로 “배가 고파요. 밥을 안 먹으면 힘들어요.”라고 소리지르는 것과 똑같다. 구어발달을 시작할 때 어려움이라는 것은 엄마나 또래와 의사소통을 전혀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엄마가 “우리 블록 가지고 놀자”라고 했을 때 엄마를 쳐다보지도 않고 혼자 내 놀이를..
-
자폐스펙트럼장애란 무엇인가?자폐성장애 2019. 9. 28. 12:40
이번 장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Autism spectrum disorders라고 명명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다양하게 불리우기도 하는데, ‘자스’, ‘자폐’, ‘ASD’ 등으로 부른다. 필자는 ASD라고 부르는데, 이는 전문직 안에서도 다양하게 불리운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근거에 대해 알아보자. ASD는 DSM-5의 준거에 근거한다.(DSM-5은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을 줄인 말로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을 의미한다.) 크게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흥미와 활동으로 나뉘어진다. 이 3가지 틀에 준거하여서 아동을 진단평가 하며 3세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