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
-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의사소통 특징자폐성장애 2019. 10. 21. 10:00
오늘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이하:ASD) 학생들의 의사소통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ASD는 먼저 구어발달에 있어서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이 많다. 말을 하려고 시도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끔 이런 이야기를 하면 ‘우리아이는 배고플 때 울어요’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다. 하지만 이는 의사소통을 하고 싶어서 우는 것이 아니다. 생존을 위한 울음이다. 예를 들어서 배가고픈데 밥을 먹을 수 없을 때 자신이 스스로 밥을 지어서 먹지 못하므로 “배가 고파요. 밥을 안 먹으면 힘들어요.”라고 소리지르는 것과 똑같다. 구어발달을 시작할 때 어려움이라는 것은 엄마나 또래와 의사소통을 전혀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엄마가 “우리 블록 가지고 놀자”라고 했을 때 엄마를 쳐다보지도 않고 혼자 내 놀이를..
-
자폐스펙트럼 아이의 마음이론과 중재 (theory of mind)자폐성장애 2019. 10. 9. 10:00
오늘은 자폐아이의 마음이론과 중재에 대해 이야기 해 보려고 한다.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마음이론에 결함이 있다고 이야기를 한다. 마음이론이란 간단하게 말해서 상대방의 거짓된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상대방의 말의 의도를 알아듣고 해석하는 데 결함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자폐성장애의 인지적인 결함이 이유가 된다. 전통적으로 마음 이론의 발달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관찰되는 시기는 대체로 만 3세에서 5세 사이로 보고 있다. 그 이유는 대체적으로 이 시기 이전의 아동이 특정 마음 이론 관련 과제에서 어려움을 겪다가 3-4세 즈음하여 이를 해결하는 행동을 보이기 때문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마음 이론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그렇다면 왜 마음이론이 중요할까? 마음이론은..
-
자폐스펙트럼장애란 무엇인가?자폐성장애 2019. 9. 28. 12:40
이번 장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Autism spectrum disorders라고 명명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다양하게 불리우기도 하는데, ‘자스’, ‘자폐’, ‘ASD’ 등으로 부른다. 필자는 ASD라고 부르는데, 이는 전문직 안에서도 다양하게 불리운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근거에 대해 알아보자. ASD는 DSM-5의 준거에 근거한다.(DSM-5은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을 줄인 말로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을 의미한다.) 크게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흥미와 활동으로 나뉘어진다. 이 3가지 틀에 준거하여서 아동을 진단평가 하며 3세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