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lex
-
긴장성미로반사에 대해 알아보자 (Tonic labyrinthine reflex)지체장애 2019. 11. 4. 10:00
오늘은 비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ATNR)과 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STNR)에 이어서 긴장선 미로반사(TLR)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셋다 원시반사에 속하지만 중재법과 교육적 제언이 각각 다르므로 교사는 차이점을 명확히 숙지하여서 적합한 교육적 요구에 응해야 될 것이다.비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 (ATNR) 바로가기 https://speciledu.tistory.com/29?category=351924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 (STNR) 바로가기https://speciledu.tistory.com/41?category=351924 긴장성 미로반사 (이하 TLR)은 중력에 대항하여 머리, 팔, 다리를 드는 것을 의미한다. ATNR, STNR과 마찬가지로 신생아 원시반사에 속하며 이는 자라면서 점차적으로 소거..
-
대칭성 긴장성 목반사에 대해 알아보자 (symmetric tonic neck reflex)지체장애 2019. 11. 3. 10:00
오늘은 지체장애의 반사반응인 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는 (STNR)이라고도 하며 이또한 비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ATNR)과 같이 신생아 때 본능적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정위반응이 소거되지 않고 남아있음으로 인해서 일상생활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ATNR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다면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https://speciledu.tistory.com/29] STNR은 경부반사가 대칭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대칭성 긴장성 목반사 혹은 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라고 일컫는다. 그렇다면 STNR의 증상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STNR은 머리와 몸통의 움직임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신전 혹은 굴곡현상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
-
비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 (ATNR: Asymmetric tonic neck reflex)지체장애 2019. 10. 22. 10:00
오늘은 원시반사중 하나인 비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원시반사는 비대칭성경부반사, 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 긴장성 미로반사, 양성지지반응, 음성지지반응 등이 있는데 원시반사는 신생아 때에 나타내는 반사이다. 원시반사를 포스팅하는 이유는 보통 신생아 때 일어났다가 없어져야 하는 반응이지만 중추신경계의 미성숙 등의 이유로 사라지지 않아서 장애의 요소가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비대칭성 긴장성 경부반사 (이하 : ATNR)은 몸의 돌리는 방향에 따라 상지와 하지가 모두 신전되고 반대쪽은 모두 굴곡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를 ‘펜싱자세’라고 말하기도 한다. 사진출처 : https://images.app.goo.gl/k4j6RS2E35zMPtZ38 ATNR을 가진 아동들은 한쪽 방향으로 모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