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
대한민국 교육의 학교(급)별 목표특수교육의 이야기 2020. 3. 31. 13:00
오늘은 학교(급)별 목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학교(급)별 목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재구성 해 보았다. 총론에 대한 해설과 함께 심층적으로 학교(급)별 목표에 대해서 이해 해 보기를 바란다. 가. 초등학교 교육 목표초등학교 교육은 학생의 일상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기본 습관 및 기초 능력을 기르고 바른 인성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1) 자신의 소중함을 알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기르며, 풍부한 학습 경험을 통해 자신의 꿈을 키운다.2) 학습과 생활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기초 능력을 기르고, 이에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상상력을 키운다.3) 다양한 문화 활동을 즐기고 자연과 생활 속에서 아름다움과 해복을 느낄 수 있는 심성을 기른다.4) 규칙과 질서를 지키고 협동정신을 바탕으로 서..
-
특수학교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2)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25. 10:00
오늘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이 포스팅은 특수학교 및 학급을 기준으로 작성하였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에 근거하였다. 카. 범교과 학습 주제는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 교육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다루도록 하고, 지역사회 및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한다. 범교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안전 건강교육, 인성교육, 진로교육, 민주 시민 교육, 인권교육, 다문화교육, 통일교육, 독도교육, 경제 금융 교육, 환경 지속발전 교육-> 총론에 근거하여 위 범교과 교육들은 학생들에게 반드시 가르쳐야 되는 교수요목이다. 타. 학교는 필요에 따라 계기교육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계기교육 지침에 따른다.-> 계기교육이란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
-
특수학교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1)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24. 10:00
오늘부터는 특수학교 초중등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려 한다. 이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총론을 해석하였다.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기준을 통해서 특수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되었으면 한다. 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공통 교육과정 및 선택 중심 교육과정 또는 기본교육과정으로 편성한다. -> 공통 및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나.를 보기 바란다. 기본교육과정은 공통교육과정 및 선택중심교육과정 적용이 어려운 학생에게 교육하는 교육과정이다. 나. 공통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편성‧운영한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은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의미한다. 우리가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할 때 다양한 형태의 고등학교를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