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음성
-
보청기에 대해 알아보자 (Hearing aid)청각장애 2019. 10. 18. 10:00
오늘은 보청기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한다. 보청기의 주된 역할은 음을 증폭시키는 역할이다. 이 점이 인공와우와 다른 점인데, 인공와우는 감음에 대한 기기이다. (추후 포스팅하겠다.) 그렇다면 보청기는 어떤 사람이 사용하는가? 주로 전음성 장애를 가진 아동이나 노인들이 많이 쓴다. 노인들이 보청기를 사용하는 것은 다들 기본적으로 알고있는 상식이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노인 이외에 전음성 아동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음성과 감음신경성의 차이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https://speciledu.tistory.com/15청극의 경로에 따른 청각장애 원인은 무엇일까?보청기의 구조는 먼저 소리가 들어가는 이어폰과 증폭하는 증폭기 그리고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말해 보청기를 통해..
-
청각의 경로에 따른 청각장애 원인은 무엇일까?청각장애 2019. 10. 8. 10:00
청각장애는 타 감각장애와는 달리 장애가 일어나는 특정 부위에 따라 장애를 분류하기도 한다. 물론 시기에 따라서나 청력손실의 정도에 따라서 제공되는 교육 및 관련서비스가 달라지기는 하지만 오늘은 경로에 따른 분류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렇다면 청각의 경로에 대해서 알아보자. 귀의 구조는 먼저 외이. 중이, 내이로 나뉘어진다. 외이는 이개와 외이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귀의 가장 바깥쪽부터 외이도 즉 고막으로 향하는 긴 관 까지를 외이라고 정의한다. 중이는 고막과 이소골, 유스타키오관을 의미한다. 고막은 외이와 중이를 구별하는 막이기다. 또한 소리가 이개와 외이도를 따라서 들어오면 가장 처음으로 치는 막이기도 하다. 이 때 고막에서 소리가 1차적으로 증폭되면 추골 미골 등골 3개의 뼈가 서로 비벼지면서 2차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