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학생
-
시각의 활용기술 훈련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시각장애 2019. 11. 8. 10:00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시각의 활용기술을 교수하려면 시각의 활용기술 훈련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이 기술들은 크게 중심외보기 기술, 고시, 추시, 추적, 추사, 위치찾기가 있는데 순차적으로 익혀야되는 기술도 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중심 외 보기기술이다. 이 기술은 중심부에 암점이 있는 학생들에게(예 : 황반변성) 교수해야 되는 기술인데 중심에 암점이 있기 때문에 머리와 고개를 옆으로 돌리고 눈동자를 움직여서 대상을 보는 기술이다. 주변부를 통해서 글자와 숫자를 읽는 기술을 의미하는데 이 기술을 교수하려면 두 눈의 시력차이가 현저하게 나거나 한 쪽 눈으로만 보는 학생들이 해당된다. 두 번째는 고시기술이다. 이 기술은 한 가지 사물이나 글자에 응시하여서 보는 ..
-
인공와우에 대해 알아보자(cochlear implantation)청각장애 2019. 10. 27. 10:02
이전 포스팅에서는 보청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면 오늘은 인공와우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보청기와 인공와우는 둘다 청각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적용되는 기기이지만 쓰는 방법과 활용방법이 다르다.https://speciledu.tistory.com/25 보청기에 대한 포스팅 바로가기 보청기가 음의 증폭을 하기 위한 기기라고 한다면 인공와우는 소리를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전극이 직접 청신경을 자극해 소리를 듣게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다시말해 보청기는 전음을 담당한다면 인공와우는 감음을 담당하는 것이다.인공와우는 와우에 소리를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기를 삽입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인공와우를 사용하려면 청신경은 정상이지만 와우에 이상이 있는 아이를 대상으로 인공와우삽입술이 가능하다. (참고 청신경이 일부 남아있어도..
-
특수교육 대상자의 의무교육은 어디까지인가특수교육법 2019. 10. 14. 10:00
오늘은 특수교육 대상자의 의무교육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특수교육대항자의 의무교육은 일반교육 대상자 의무교육의 기준과 조금 다른데, 다음 특수교육법을 통하여 그 기준과 의미를 알아보자.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약칭:특수교육법) 제3조(의무교육 등) ①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하여는 「교육기본법」 제8조에도 불구하고 유치원ㆍ초등학교ㆍ중학교 및 고등학교 과정의 교육은 의무교육으로 하고, 제24조에 따른 전공과와 만 3세미만의 장애영아교육은 무상으로 한다. 특수교육 대상자는 교육기본법 제 8조에서 명시하는 것과 다른 체계를 지닌다고 한다. 그렇다면 교육기본법 제 8조를 살펴보자. 제8조(의무교육) ① 의무교육은 6년의 초등교육과 3년의 중등교육으로 한다. ② 모든 국민은 제1항에 따른 의무교육을 받을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