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회교육
-
특수학교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2)특수교육의 이야기 2019. 10. 25. 10:00
오늘은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이 포스팅은 특수학교 및 학급을 기준으로 작성하였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에 근거하였다. 카. 범교과 학습 주제는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 교육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다루도록 하고, 지역사회 및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한다. 범교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안전 건강교육, 인성교육, 진로교육, 민주 시민 교육, 인권교육, 다문화교육, 통일교육, 독도교육, 경제 금융 교육, 환경 지속발전 교육-> 총론에 근거하여 위 범교과 교육들은 학생들에게 반드시 가르쳐야 되는 교수요목이다. 타. 학교는 필요에 따라 계기교육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계기교육 지침에 따른다.-> 계기교육이란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
-
건강장애란 무엇인가? (Health impairment)건강장애 2019. 10. 11. 10:00
오늘은 건강장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건강장애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고 속하는 장애범주를 이야기 해 보려고 한다. 건강장애의 대표적인 항목으로는 소아당뇨, 천식, 심장병 등이 있는데 이러한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의거한 특수교육을 받아야 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건강장애가 무엇인지 법적 정의를 통하여 알아보자.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제 10조 (특수교육 대상자의 선정기준)만성질환으로 인하여 3개월 이상의 장기입원 또는 통원치료 등 계속적인 의료적 지원이 필요하여 학교생활 및 학업 수업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위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즉, 건강장애란 만성질환으로 인하여 3개월 이상의 장기입원 또는 통원치료로 인하여 학교에 출석이 어려운 학생..
-
특수교육 용어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특수교육법 2019. 10. 2. 10:00
오늘은 특수교육 용어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수교육 용어의 정의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약칭 : 특수교육법) 제 2조를 참고하고자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특수교육"이란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제2호에 따른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한다. (자세한 내용은 첫 번째 포스팅을 참고하기를 바란다.) 2. "특수교육 관련서비스"란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적ㆍ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상담지원ㆍ가족지원ㆍ치료지원ㆍ보조인력지원ㆍ보조공학기기지원ㆍ학습보조기기지원ㆍ통학지원 및 정보접근지원 등을 말한다. 제 2조 1항에 따르면 특성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