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

SIS(Supports Intensity Scale)의 평가 계획

SPED 2019. 11. 1. 10:00

오늘은 어제 포스팅에 이어서 SIS의 평가계획에 대해서 포스팅 해 보려고 한다. SIS는 AAIDD에 근거하여서 지원정도를 자연적지원과 서비스중심 지원으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https://speciledu.tistory.com/6?category=352106 AAID개념 보기] [https://speciledu.tistory.com/38?category=352106 SIS 개념 보기]


SIS의 평가계획은 크게 5단계로 나뉘어진다. 먼저 제 1단계는 지적장애를 가진 특수교육대상자 당사자의 삶의 경험과 목표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때 지적장애 개개인의 주어진 상황에서 국한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말한다. 이 때 부모님이나 특수교사, 등이 함께 참가하여서 이 아이에 대한 현재 상황 뿐만 아니라 어떻게 변화해 가면 좋을지도 고민한다.

2단계는 SIS 사정에 따른 필요한 지원요구를 평가한다. 제 1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정 중 하나는 개인지원중심이라는 방법이 있는데 이 사정과 SIS 사정에 따라서 아동에게 필요한 지원 및 요구의 정도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서 어떠한 프로그램에 참여를 할 때 아동에게 어떤 지원이 들어가면 좋을지, 치료방법은 어떠한 것들이 제공되면 좋을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3단계는 개별화 지원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개별화 지원계획은 IEP(개별화교육계획)과 다른 개념인데 개별화교육계획은 아동의 목표, 방법, 내용, 평가 등을 작성하는 것이라면 개별화 지원계획은 구체적인 지원내용 (언제, 어디서, 얼마나 자주, 얼마나 시간이 소요되는지, 어떤 종류의 지원인지, 누구에 의해 지원될 것인지) 등을 작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 3단계는 작성과 더불어서 실행도 포함이 된다.

4단계는 process를 점검하는 것이다. 개별화 지원계획팀이 정기적으로 아동에게 필요한 지원계획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간헐적으로 체크하고 이 진전도에 따라서 앞으로의 방향을 수정 보완하여 최고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제 5단계는 처음 기준선과 대비하여서 어떠한 진전된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는 행동수정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행동수정 탭은 올해 말에 새로 개설하도록 하겠다. 아무튼 처음과 비교하여서 어떠한 진전된 성과를 거두었는지를 평가하고 만약에 그렇지 않다면 어떤 지원계획이 추가되어야 하는지를 제언하고 마무리한다.


오늘은 SIS의 계획과 실행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특수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동 개개인의 지원정도와 교육적 욕구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계획을 세워서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지적장애를 가진 아동은 특히나 개개인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중요한 만큼 SIS의 계획수립 및 평가계획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